본문 바로가기

과학

OECD 1위 시리즈 - 문맹률 (아래에서 1위)

728x90
반응형

세계 문맹 지도

사실 문맹률은 1위가 아니라 꼴지이다. 가장 문맹률이 낮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유일무이한 1등은 아니다. 문맹률 자체가 교육수준과 관계가 깊은 만큼, 여러 나라가 공동 1등을 차지하고 있다. 작은 차이는 있겠지만 통계적으로 무의미한 차이이기 때문에 그저 공동 1등이라고 보고 있는 듯 하다.

 

그래서 OECD나 UN 에서는 문맹률 3% 미만 지역을 모두 1위라고 보고 있다. 미국, 캐나다, 호주, 러시아, 한국, 일본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우리나라는 한글이라는 우수한 문자 체계가 있기 때문에 문맹률이 당연히 낮을 것이라 보는 의견이 많다. 하지만 필자가 보기에는 한글만 가지고 문맹률이 낮은 건 절대로 아니다. 

 

1945년 광복 직후 남한 지역의 문맹률은 약 78%일 정도로 문맹률이 매우 높았다. 한글이 아무리 우수한 문자 체계일지라도 한글을 배우지 못하면 도리가 없기 때문이다. 1945년 78%의 문맹률을 극복하기 위해 건국준비의원회에서는 문맹 문제를 관장할 성인교육의원회를 조직하고 국문강습소를 설치운영하였다. 

 

이 때에도 우리나라의 교육열이 높았는지 한글 교육의 기회가 제공되자마자 종이부족 사태가 벌어질 정도로 난리가 났다. 무려 3년만인 1948년에 문맹률은 41.3%로 낮아졌다. 625 한국전쟁으로 잠시 주춤했지만 전쟁 이후에도 이러한 추세는 유지되어 1958년 문맹률은 4.1%까지 떨어졌다. 

 

하지만 이러한 문맹률은 이름 석자를 쓰거나 읽을 줄 아는 정도도 글을 안다고 가정했기 때문에 맹점이 있다. 1960년 경제기획원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문맹률은 27%에 달했다. 실제로 한글 문자 체계를 사용할 줄 아느냐를 기준으로 했기 때문이다. 4.1%인줄 알았던 통계가 27%가 되면서 문맹퇴치 교육은 다시 불붙었으며, 국민학교 진학률이 100%에 육박하게 되면서 우리나라 통계청에서는 문맹률을 1% 미만으로 보고 있다. 

 

북한에서도 이는 마찬가지로 추정된다. 탈북자들의 증언에 따르면, 북한에서도 글을 모르는 사람은 찾아보기 어렵다고 한다. 교육 수준은 경제력과 관련이 깊은거 같지만 의외로 공산권 국가들 대부분 문맹률이 매우 낮았다. 

 

사실 OECD 국가들을 대상으로 문맹률을 순위로 매기는 거 자체가 의미가 없다. 거의 대부분 국가들의 문맹률이 1% 미만이고 높아봐야 5%를 넘지 않는다. 그나마 그 문맹자들의 대부분이 고령층이거나, 심각한 장애인이다. 

 

OECD 국가들을 대상으로 순위를 매기는 것이 무의미함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를 1위로 보는 상징적인 이유가 있다. 문맹 퇴치, 즉, 문맹이 많은 지역에 글을 가르치는데 큰 공헌을 한 개인이나 단체에게 유네스코에서 수영하는 상이 바로 [세종대왕상]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 세종대왕상 상금도 대한민국 정부가 출연한 기금으로 운영된다. 

 

또 다른 이유도 있다. 문자 없는 민족에 보급되는 문자가 한글인 경우가 많은 것이다. 인도네시아의 찌우찌우족, 태국의 라우족, 중국 소수민족인 라우족과 어웡키족, 대만 부눈족의 언어는 한글을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다. 배우기 쉽고, 거의 모든 소리를 다 표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부에서는 한글이 높낮이가 있는 성조를 표시할 수 없는 약점이 있다고 지적하고 있으나, 성조는 상대적으로 표기하기가 쉽기 때문에 한글에 쉽게 융화시킬 수 있다고 보고 있다. 

 

 

728x90
반응형